본문 바로가기
노인

포괄적 노인사정의 구성요소 및 포괄적 노인사정을 위한 효과적인 의사소통

by 공부하는 한나 2023. 6. 28.

1. 포괄적 노인사정의 구성요소

(1) 건강력 조사

① 노인의 주호소, 현병력, 과거력, 수술력, 복용약물

② 인구사회학적 정보 : 연령, 성별, 교육정도 등

③ 흡연이나 음주 여부

 

(2) 신체적 영역

① 활력징후(vital sign)

• 체온 : 노인의 경우 정상 성인에 비해 체온조절이 더 어려워진다. 피하지방의 감소로 따뜻하게 체온유지가 어려워져 저체온증이 발생하기도 하고, 발한능력의 감소로 체온이 쉽게 올라가 고체온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 맥박 : 맥박은 일반적으로 유지되지만 심장의 변화로 인하여 휴식 시 맥박은 약간 감소한다. 운동 시 심박수 증가가 느리게 일어나며 다시 안정되는 데 시간이 더 걸린다. 운동 시 최대심박수도 낮아진다.

• 혈압 : 체위성 저혈압이 흔하게 발생하며 고혈압 위험도 증가한다.

• 호흡 : 폐기능이 서서히 감퇴되나 호흡수의 변화는 없다.

② 감각기능 : 시력, 청력 등의 감각기능 상태

③ 통증 : 통증부위, 통증정도, 통증완화제의 효과

④ 피부 : 전반적인 피부상태, 욕창과 같은 피부병변 확인

⑤ 수면 : 수면시간, 수면장애 양상 및 질 평가

⑥ 배설 : 요실금, 변실금, 변비, 분변매복 여부, 요로감염, 보조장치 등 ) 영양 : 신장, 체중, 제질량지수(BVID), 비만, 체중감소 임상검사 결과(알부민, 헤모글로빈, 콜레스테롤 등), 치아상태, 소화기능, 식욕부진, 복부 불편감, 영양불량, 빈혈 식사 양상, 식사량, 수분 섭취량, 선호하는 음식 등

•영양상태 평가도구 : MNA(mini nutritional assessment) - 영양불량을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는 도구 - 노인의 사망률 예측에 유용 - MNA- SF(MNA short form) : MNA의 1단계만 수행하는 방법

 

(3) 기능상태 기능평가는 노인의 평가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하다.

이는 노인에게 있어서 질병의 유무보다 독립적 생활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에서도 고령노인의 건강은 질병 여부보다 기능상태가 더 중요하다고 지적하였다. 기능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 도구들이 개발되었으며, 신체적 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ADL)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TADL)을 가장 기본적으로 사정한다. ①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ADL 도구는 modified barthel index(MBI)이다. 주당 필요한 도움시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②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 IADL) 도구를 사용하여 생활을 충분히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Lawton & Brody(1969)의 IADI 도구는 질병 초기의 환자 평가에 유용하며 질병 수준뿐 아니라 자신을 돌보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

③ 근력, 균형, 이동능력, 낙상위험도 등 사정

 

(4) 정신적 영역(우울) 노인의 우울평가도구로는 15문항의 SGDS-K(Korean version of the 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가 있으며 6점 이상일 때 우울증후군, 8점 이상 이는 주요 우울장애를 의심할 수 있다.

 

(5) 인지적 영역 노인 정신상태의 변화 중 가장 흔하고도 중요한 문제가 인지기능의 손상이다. 인지기능의 손상은 천천히 진행될 뿐 아니라, 초기에는 잘 드러나지 않을 수 있어 주의 깊게 조사해야 한다. 인지기능 선별도구로써 간이 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가 가장 흔하게 이용된다. 성별, 연령, 교육 수준에 따라 규준표를 참고하여 검사결과를 해석한다.

 

(6) 사회적 • 환경적 영역

① 주거환경 : 집안에서 낙상이나 부상 위험성이 높은 환경 사정

② 의료기관 활용 : 병원, 보건소, 의료진, 의료서비스 이용 빈도, 접근성 등

③ 주변 생활환경 : 생활편의시설, 여가시설 및 접근성 등

④ 경제수준 및 사회활동 : 경제상태, 직업, 은퇴여부, 이동수단, 사회활동, 취미 등

⑤ 사회적 지지: 사람들과의 관계, 질병 발생 시 돌봐줄 사람이 있는지, 건강과 관련하여 중대한 문제 발생 시 결정권자가 있는지, 지역사회 지지체계 등

⑥ 가족지지 : 결혼상태, 자녀, 가계도, 가족과의 관계, 가족력 등

 

(7) 영적사정

① 종교 여부, 종교시설 접근성, 종교활동

② 노인의 삶의 가치와 의미

③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과 죽음준비, DNR 여부

 

2. 포괄적 노인사정을 위한 효과적인 의사소통

노인들 중에는 기억력 감퇴로 과거력을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증상호소 시 여러 가지 증상을 한꺼번에 이야기하기도 한다. 또한 건강사정을 위한 면담질문에 대한 대답을 할 때 정확하고 간결한 응답보다는 명확하지 않고 우회적인 표현법을 사용하거나, 질문과 관련 없는 생활고나 자녀문제 등과 같은 다른 주제에 대하여 길게 이야기하는 경우도 흔하다. 노인은 삶의 모든 영역들이 현재의 건강상태 및 건강관리의 수준이나 방법 등을 결정하기 때문에 가족관계, 경제적 어려움, 사회활동 여부 등 다양한 측면의 이야기를 하게 된다. 때문에 일반 성인을 사정하는 것보다 시간을 훨씬 많이 소비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더욱 신중하게 의사소통해야 하며 대상자의 다양한 의사소통의 의미를 제대로 받아들이고 해석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① 면담 환경

노인과의 면담을 위해서는 환경적으로 적절한 조건이 구비되어야 한다. 별도의 상담실에서 비밀보장이 되어야 한다. 노인들은 체온조절능력이 떨어지므로 실내온도가 적정해야 하고, 시력 저하 및 수정체를 통과하는 빛의 감소로 실내 간접조명이 밝아야 한다. 또한 편한 마음으로 말할 수 있도록 따뜻하고 친숙한 분위기여야 하며, 소음은 의사소통을 방해하므로 TV나 라디오 소리 등이 들리지 않도록 끈다.

② 노인과의 의사소통 방법

노인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상담자-노인 간의 신뢰가 형성되어야다. 노인에게 상담자 자신의 이름, 신분, 면담의 목적 등을 공손하고 상세히 설명하여 상호 간에 신뢰가 형성되어야 노인들은 충분히 이야기할 수 있다. 상담자 친절한 태도는 노인에게 위로가 되며 상담자에게 의지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한다. 노인의 의복, 몸단장 등에 관심을 두고 이야기하는 것도 좋다. 자세, 시선, 촉, 얼굴표정, 몸짓 등과 같은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의사소통 과정의 80%를 차지하기 때문에 노인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잘 관찰하고 파악해야 한다. 노인은 근력이 감소하고 반사능력이 저하되어 일반적으로 동작이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대화 시에 노인의 속도에 적절히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노인은 반복적으로 같은 이야기를 되풀이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상담자는 여유를 갖도록 한다. 퇴직이나 질병과 같은 생활의 변화로 인하여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에는 언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귀 기울여 경청하도록 한다. 질문의 순서는 중요한 것부터, 노인의 협조를 얻기 쉽고 노인이 이해하기 쉬운 것부터 시작한다. 청력손상이 있는 노인에게 고음으로 이야기할 경우 화가 난 것으로 오해할 수 있으므로 대화 시 눈높이에 맞게 얼굴을 보며 저음으로 이야기해야 한다. 노인은 시력이나 청력의 문제가 있기도 하고, 인지기능의 저하로 해당 노인과의 면담만으로는 정확한 정보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족이나 그 노인을 잘 아는 돌봄 제공자 등과 면담을 함으로써, 노인에게서 얻지 못한 자료나 부족한 자료를 보충하는 것이 좋다.

③ 면담의 정도와 면담 횟수

노인들은 이야기하는 속도가 느리고 피로감을 쉽게 느끼기 때문에 한 번의 면담으로 모든 내용을 얻을 수 없다. 여러 번이 면담을 거처야 노인에게서 포괄적이고 믿을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노인대상자의 상태를 배려하는 태도가 노인에게 전해져야 더욱 정확하고 성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노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성 시력계열 질환  (0) 2023.07.01
허약노인의 건강관리  (0) 2023.06.29
포괄적 노인 사정의 이해  (0) 2023.06.27
노인과 가족  (0) 2023.06.26
노인의 성  (0) 2023.06.25